국가전염병관리체계 발전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10:37본문
Download : 국가전염병관리체계 발전방향.hwp
국가전염병관리체계 발전방향
○ 전염병 감시 모니터망 구축
- 의사 및 초등학교 양호교사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전국적인 자발적 모니터체계(세균질환, 바이러스질환)를 운영...
○ 전염병 감시 모니터망 구축 - 의사 및 초등학교 양호교사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전국적인 자발적 모니터체계(세균질환, 바이러스질환)를 운영... , 국가전염병관리체계 발전방향사범교육레포트 ,
Download : 국가전염병관리체계 발전방향.hwp( 20 )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사범교육,레포트
순서
○ 전염병 감시 모니터망 구축
- 의사 및 초등학교 양호교사들의 참여를 유도하여 전국적인 자발적 모니터체계(세균질환, 바이러스질환)를 운영·지원하므로써 전염병 유행양상을 조기에 파악함.
- 추진대안
· 모니터는 내과, 소아과, 가정이학과를 중심으로 `99년에 100개소를 우선적으로 확보한 후 4년간 연차적으로 50개소씩 확대하여 2003년에 300개소를 운영
· 모니터 대상 질병은 법정전염병 및 비법정전염병을 포함하고 예방접종부작용도 함께 실시함.
· 모니터 의사 및 양호교사의 지속적 관리를 위한 예산확보
○ 전염병 정보시스템 구축
- 인터넷(Internet)을 통해 중앙政府와 지방자치단체의 전염병 정보수집 및 정보공유를 구현
- 인터넷(Internet) EDI 망으로 민간의료기관, 양호교사, 주민들로부터 전염병발생 정보를 받고 전염병통계정보 제공
- 민·관 보건의료기관의 검사실을 연계하는 「전염병 균주 유전자 검사망」을 구축하여 전염병 발생시 신속한 요인규명 및 대응체제를 갖춤
※ 미국 질병통제센타에서는 24시간 진단체제를 구축하고 있음
(program명 : Molecular Analyst / 전국망 명칭 : Pulsenet)
○ 전염병 전담 조직의 전문성 증대
- 국립보건원에 전염성질환 관리 전담부서 확보
- 보건복지부 관련 부서와 국립보건원 기존…(省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