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point.co.kr 공산성 > keypoint6 | keypoint.co.kr report

공산성 > keypoint6

본문 바로가기

keypoint6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공산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19:29

본문




Download : 공산성.hwp




... , 공산성공학기술레포트 ,


진남루(鎭南樓)

공산성은 백제의 웅진시대 도성(都城)이었던 사적(史蹟)으로서 아직도 백제 토성지(土城址)가 남아 있다
진남루(鎭南樓)는 공산성의 남문(南門)이며 조선시대(朝鮮時代) 에는 삼남(三南)의 관문(關門) 이었다. 비문(碑文)의 내용은 이괄의 반란과 인조가 난을 피하게 된 사실을 쓰고 공산성에 머물렀던 약 10일간의 일도 기록되어 있다 비(碑)는 조선시대 일반적인 양식(樣式)이며, 특히 귀부(龜趺)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비문(碑文)은 인조때 영의정을 지낸 신흠(申欽)이 지은 것이며 글씨는 숙종때 영의정을 지낸 남구만(南九萬)이 쓴 것이다.
쌍수(雙樹)에 기대어 왕도(王都)를 걱정하던 인조가 평정(平定) 소식을 듣고 기뻐하며 이 쌍수에 토훈대부(通訓大夫)의 영(令)을 내리셨다는 origin가 있다



- 쌍수정(雙樹亭) 사적비[지방문화재 제35호]

이 비(碑)는 조선 인조(仁祖)가 이괄(李适)의 난(亂)을 피하여 이곳 공산성에 머물렀던 일을 새긴 것으로 숙종(肅宗) 34년에 세운 것이다.




-쌍수정(雙樹亭)

조선시대(朝鮮時代) 인조(仁祖)가 이괄(李适)의 난(亂)을 피하여 일시 파천 (播遷)한 곳 이다.


- 공북루[珙北樓, 지방문화재 제37호]

공산성의 북문(北門)으로서 선조(宣祖) 36년(1603) 옛 망북루(望北樓)의 터에 신축한 것으로 조선시대 문루건축(門樓建築)의 좋은 예(例) 이며 강변에 위치하고 있어 강남과 강북을 왕래하는 남북통로의 관문(關門)이었다.
레포트/공학기술
공산성

진남루(鎭南樓) 공산성은 백제의 웅진시대 도성(都城)이었던 사적(史蹟)으로서 아직도 백제 토성지(土城址)가 남아 있다.


설명





순서

공산성_hwp_01.gif 공산성_hwp_02.gif 공산성_hwp_03.gif 공산성_hwp_04.gif 공산성_hwp_05.gif 공산성_hwp_06.gif

...
,공학기술,레포트
진남루(鎭南樓)

Download : 공산성.hwp( 42 )





공산성은 백제의 웅진시대 도성(都城)이었던 사적(史蹟)으로서 아직도 백제 토성지(土城址)가 남아 있다.




- 연지(蓮池) 및 만하루(挽何樓)[지방기념물 제42호]

공산성안에 있었던 연못중 하나이면 단(段)을 둔 석축(石築)을 정연하게 쌓았으며 동,서 양측에 넓은 통로를 둔 것이 특징이다. 깊이는 약 9m이고 연못과 금강사이에 만하루(挽河樓) 라는 정자를 세웠다.




- 임류각(臨流閣)

임류각은 백제 제24대 …(To be continued )



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keypoint.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keypoint.co.k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