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태서문예신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7 09:58
본문
Download : [인문] 태서문예신보.hwp
발간 당시에는 종합지의 성격을 띠고 문예 작품 이외에도 취미 기사를 실었으나, 그 뒤 곧 문예지의 성격을 띠었다. 「…(drop)
레포트/인문사회
[인문] 태서문예신보
Download : [인문] 태서문예신보.hwp( 52 )
[인문] 태서문예신보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타블로이드판, 8면이다. 코넌 도일의 《충복》, 투르게네프의 《밀회》 등의 번역소설을 비롯하여 베를렌이나 구르몽 등의 프랑스 상징파 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紹介(소개)하였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김억의 번역시와 시론은 한국 근대시 형성에 큰 effect(영향) 을 끼쳤으며, 김억은 이 잡지에 발표한 번역시를 모아 1921년 한국 최초의 번역시집인 《오뇌의 무도》를 펴냈다.
다. 주로 시·소설·수필·시론·번역 작품이 수록되었으며, 김억·이일·장두철 등이 중심이 되어 서구 문예의 도입과 紹介(소개)에 주력하였다.[인문] 태서문예신보
인문,태서문예신보,인문사회,레포트
![[인문]%20태서문예신보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83%9C%EC%84%9C%EB%AC%B8%EC%98%88%EC%8B%A0%EB%B3%B4_hwp_01.gif)
![[인문]%20태서문예신보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83%9C%EC%84%9C%EB%AC%B8%EC%98%88%EC%8B%A0%EB%B3%B4_hwp_02.gif)
설명
순서
태서문예신보
①『태서문예신보』에 대해..
1918년 9월 창간되어1919년 2월 통권 16호로 종간되었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이 잡지의 주요 내용은 창작시, 번역시, 창작 소설, 번안 소설, 외국 문학과 문단 사定義(정이) 紹介(소개), 시론 등으로 되어 있다아 특히 주목할 것은 시와 해외시의 수입, 紹介(소개)를 겸한 theory(이론)들이다. , [인문] 태서문예신보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태서문예신보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창간호에서 `본보는 태서(서양)의 유명한 소설·시·산문·가곡·음악·미술·각본 등 일반 문예에 관한 기사를 문학대가의 붓으로 직접 본문으로부터 충실하게 번역하여 발행할 것`이라고 밝혔듯이 대부분 서구문학 작품과 사조에 관한 글을 실었다. 초기에는 종합지의 성격을 띠고 문예작품 외에도 취미 기사를 실었으나 곧 문예지로 전환하였다. 이외에도 백대진의 《뉘우침》, 김억의 《봄은 간다》 등의 창작시와 《최근 태서문단》 《시형의 음률과 호흡》 등의 평론을 실었다. 많은 번역시와 외국 시론의 紹介(소개)로 한국 근대문학 개화에 이바지하였다
② 창작배경
『태서문예신보』는 1918년 9월 26일 발행인 윤치호, 주간겸 편집인 장두철에 의하여 창간된 우리나라 최초의 주간지로 1919년 2월 16일까지 약 5개월 동안 16호를 내었다. 윤치호가 밝힌 창간사의 사설을 요약하면 서양의 저명한 문학작품과 예술 전반에 걸친 기사를 대중에 의해 원문에서 직접 번역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