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제도론] [방통대 09-2 금융제도론 C형]①금융위기에 관한 주요 가설(4가지)을 intro 하고, ②우리나라의 IMF…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09:18본문
Download : 금융위기의 의의와 주요가설[2].hwp
매일경제신문 (통신: go kinds)
![금융위기의 의의와 주요가설[2]-7188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9/%EA%B8%88%EC%9C%B5%EC%9C%84%EA%B8%B0%EC%9D%98%20%EC%9D%98%EC%9D%98%EC%99%80%20%EC%A3%BC%EC%9A%94%EA%B0%80%EC%84%A4%5B2%5D-7188_01.gif)
![금융위기의 의의와 주요가설[2]-7188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9/%EA%B8%88%EC%9C%B5%EC%9C%84%EA%B8%B0%EC%9D%98%20%EC%9D%98%EC%9D%98%EC%99%80%20%EC%A3%BC%EC%9A%94%EA%B0%80%EC%84%A4%5B2%5D-7188_02_.gif)
![금융위기의 의의와 주요가설[2]-7188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9/%EA%B8%88%EC%9C%B5%EC%9C%84%EA%B8%B0%EC%9D%98%20%EC%9D%98%EC%9D%98%EC%99%80%20%EC%A3%BC%EC%9A%94%EA%B0%80%EC%84%A4%5B2%5D-7188_03_.gif)
![금융위기의 의의와 주요가설[2]-7188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9/%EA%B8%88%EC%9C%B5%EC%9C%84%EA%B8%B0%EC%9D%98%20%EC%9D%98%EC%9D%98%EC%99%80%20%EC%A3%BC%EC%9A%94%EA%B0%80%EC%84%A4%5B2%5D-7188_04_.gif)
![금융위기의 의의와 주요가설[2]-7188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9/%EA%B8%88%EC%9C%B5%EC%9C%84%EA%B8%B0%EC%9D%98%20%EC%9D%98%EC%9D%98%EC%99%80%20%EC%A3%BC%EC%9A%94%EA%B0%80%EC%84%A4%5B2%5D-7188_05_.gif)
Ⅳ. 우리나라의 IMF금융지원체제의 극복과정
세종연구소 homepage at http://www.segong.org
정일용 (1998), ‘세계경제환경의 變化와 동아시아 금융위기’,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제 5차 심포지움 발표문
외환위기(Currency Crisis)란 원화에 대한 매수추세는 거의 없고 달러화에 대한 매수추세만 존재하는 상황 속에서 국내 기업 및 금융 기관들이 대외채무를 결제할 수단인 달러가 부족하여 국가 전체의 지급불능 위기로까지 나아간 상황이다. 경상수지가 적자라 하더라도 대외차입을 통하여 필요한 외환을 조달하면 외환위기로 까지 파급되지 않는다. 그리고 환율도 예상보다 크게 과대평가되지 아니하였다. 이를 위해 특히 1995년 중반까지 진행된 엔고(円高)와 외자유입, 그리고 한국政府(정부)의 경기부양 정책이 한국경제의 거품발생에 기여한 측면과 이후 엔저에 따른 국제수지 적자의 증대 및 외채누적, 그리고 부실기업 및 부실금융의 발생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위기관리능력의 실종
외환위기는 급격한 외환의 유출로 외환보유고가 바닥이 날 때 발생한다. 하지만 일본 경제의 침체, 중국(China)과의 경쟁 심화, 반도체 가격의 하락 등이 한국 경제의 실물부문에 부정적 influence을 주었다.
이용필, 전인영 (1992), 危機管理論, 인간사랑
삼성경제연구소 (1997), ‘IMF와 한국경제’, 삼성경제연구소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각호.
Ⅰ. 한국 외환위기의 배경
이영섭, 이종욱 (1998), ‘한국의 외환위기 예측 가능했는가?’, 국제금융연구회추최
2. 부채-디플레이션 과정
Download : 금융위기의 의의와 주요가설[2].hwp( 34 )
Ⅲ. 금융위기에 관한 주요 가설
Ⅰ. 한국 외환위기의 배경
- 다양한 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최장규 (1998), ‘투기적 공격과 외환위기’,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소
한국은행 데이터베이스
한국은행 homepage at http://www.bok.org
2. 전염效果(효과)
자유기업센터 (1998), ‘경제위기의 原因과 展望(전망) ’
한국신용평가 (go kisline)
[금융제도론] [방통대 09-2 금융제도론 C형]①금융위기에 관한 주요 가설(4가지)을 intro 하고, ②우리나라의 IMF금융지원체제의 극복과정을 서술하시오
3. 외채누적과 단기외채의 급증
참고자료(data)
4. 정보 비대칭성 가설
2. 재벌부도와 부실금융
3. 외환위기의 발생경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Ⅴ. 結論
1. 엔-달러 환율change(변화)
박대근, 이창용(1998), ‘한국의 외환위기 : 전개과정과 교훈’, 한국경제학회발표문.
Ⅱ. 한국 외환위기의 발생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박우규 (1998), `IMF시대의 경제난국 극복방안(方案)‘, SK증권
3. 금융불안정성 가설
순서
이창용 (1998), `IMF 조정 프로그램의 경제적 평가“, 『IMF 관리체제 중간평가』, 제 24회 학술市民포럼 발제논문
- 방통대 09-2 경영학과 4학년 금융제도론 C형 참고資料입니다
통계청 데이터베이스(KOSIS)
금융제도론, 금융위기, 금융위기에 관한 주요 가설, IMF금융지원체제, 금융지원체제, IMF
- 방통대 09-2 경영학과 4학년 금융제도론 C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박복영 (1997), ‘1931년 독일의 통화위기와 1997년 한국의 위기에 대한 시사’, 한국사회경제학회 연구논문집(제 40회) 박대근, 이창용(1998), ‘한국의 외환위기 : 전개과정과 교훈’, 한국경제학회발표문. 박우규 (1998), `IMF시대의 경제난국 극복방안‘, SK증권 이영섭, 이종욱 (1998), ‘한국의 외환위기 예측 가능했는가?’, 국제금융연구회추최 이창용 (1998), `IMF 조정 프로그램의 경제적 평가“, 『IMF 관리체제 중간평가』, 제 24회 학술시민포럼 발제논문 심포지움, [한국의 외환위기: 그 원인과 대책] 발표논문 정일용 (1998), ‘세계경제환경의 변화와 동아시아 금융위기’, 서울사회경제연구소 제 5차 심포지움 발표문 최장규 (1998), ‘투기적 공격과 외환위기’,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소 매일경제신문 (통신: go kinds) 한국은행, ‘조사통계월보’ 각호. 한국은행 데이터베이스 한국은행 homepage at http://www.bok.org 한국신용평가 (go kisline) 통계청 데이터베이스(KOSIS) 세종연구소 homepage at http://www.segong.org 자유기업센터 (1998), ‘경제위기의 원인과 전망’ 삼성경제연구소 (1997), ‘IMF와 한국경제’, 삼성경제연구소 이용필, 전인영 (1992), 危機管理論, 인간사랑
설명
심포지움, [한국의 외환위기: 그 原因과 대책] 발표논문
거시경제지표의 흐름을 보면 한국의 기업이나 은행에 투자하는 외국금융기관의 투자 지표로서 성장률, 물가, 재정, 실업 등 거시경제는 90년대 중반에도 여전히 비교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한국의 외환위기는 경제적 거품이 부풀어 올랐다가 터진 것에 비유할 수 있다 이것이 물론 한국에서 외환위기가 반드시,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고 말하는 것은 아닐것이다. . 거품의 붕괴가 국내의 실물 및 금융위기를 일으키는 것으로 끝나고 외환위기로까지 전전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거품이 붕괴하고 외환위기가 일어날 가능성은 매우 컸고, 그것도 상당히 오래 전부터 존재하고 있었다. 한국경제는 80년대 중반까지 경상수지 적자를 보이면서도 외환위기의 상황까지 몰리지 않았다. 따라서 한국 외환위기의 원인(原因)과 책임소재를 따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근본적 원인(原因) 즉 외환위기가 일어날 수 있는 environment(환경) 이 왜 만들어졌는지부터 살펴보아야 한다. 다만 경상수지의 적자가 90년 대 중반이후 커지고 있었다.
1. 통화주의자의 견해
1. 엔-달러 환율change(변화)
[참고資料] 박복영 (1997), ‘1931년 독일의 통화위기와 1997년 한국의 위기에 대한 시사’, 한국사회경제학회 연구논문집(제 40회)
다. 지난 97년의 외환위기는 경상수지의 적자가 누적되어 외환보유고가 바닥을 드러내면서 발생하였다. 그것은 외국의 금융기관이나 투자가가 한국경제의 잠재력을 믿었기 때문일것이다 수출이 늘고, 기업이 이익을 내는 이상 외채의 상환능력을 믿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