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14:47본문
Download : 실학에 관한 고찰.hwp
이종휘의 고구려사 연구와 유득공의 《발해고》 저술은 고대사 연구의 시야를 만주 지방까지 확대시키는 데 기여했다. history 지리서로는 유득공의 《사군지(四郡志)》, 한백겸의 《…(투비컨티뉴드 )
다. 정상기의 《동국지도》 및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권상기(權尙驥)의 《팔도분도(八道分圖)》 등이 대표적이다.
(2)지리 분야
조선 후기에 서양 선교사가 만든 《곤여만국전도》 같은 세계 지도가 china을 통하여 전해짐으로써 지리학에서도 보다 과학적이고 정밀한 지식을 가지게 되었고, 지도 제작에서도 더 정확한 지도가 만들어졌다. 이긍익은 조선 시대의 정치와 culture를 요점한 《연려실기술》을 저술하였다. 또한 김정희는 《금석과안록》을 지어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혔다. 한치윤은 《해동history》를 편찬하여 민족사 인식의 폭을 넓히는 데 이바지하였다.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실학에 관한 고찰●실학 , 실학에 관한 고찰인문사회레포트 ,
실학에 관한 고찰
●실학
순서
실학에 관한 고찰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실학에 관한 고찰.hwp( 60 )
●影響(영향)
1. 국학의 발달
실학의 발달과 함께 민족의 전통과 현실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면서 우리의 history, 지리, 국어 등을 연구하는 국학이 발달하였다
(1)history 분야
이익의 제자 안정복은 우리 시각의 history관을 반영한 강목체 형식의 history서《동사강목》을 저술했고, 그밖에 《열조통기(列朝通紀)》를 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