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계통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8 20:20
본문
Download : 한국어 계통론.hwp
한국어 계통의 연구에 관한 것으로 알타이어와 비교, 대조하고 학자들의 의견이 포함된 리포트입니다. 그러나 한자어를 제외한 순수 한국어의 모양·소리 흉내말은 중세에 활용하지 않고 이름씨, 그림씨로 쓰였고 (예를 들면 `날-`, `산-`(生) 등은 중세 문헌에서 이름씨로도 쓰이고 있따 게다가 `날로 먹다` 등에서 나타나듯이 `날-` 뒤에 토씨가 붙어 아직 이름씨의 성질이 남아 있음을 보여 주고 있따) 또한 현대 국어에서의 그림씨 줄기가 활용없이 어찌씨로 사용되는 것(예를 들면 `그르-`(誤), `부르-`飽), `바로-`(正)등이 있다)으로 미루어 보아, 원시 한국어에서는 알타이제어에서와 같이 이름씨가 활용없이 이름씨와 그림씨의 기능을 동시에 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따 이런 추측을 가능하게 하는 또 하나의 근거는 알타이제어중 튀르크어의 이름씨가 그림씨로 쓰일 때에는 일정한 토씨가 붙는데 이런 현상은 비교적 후세에 나타난 문법적 變化(변화)로 보인다. 즉 원시 한국어에서는 알타이에서와 같이 이름씨와 그림씨가 동일하게 쓰였으며 이 중에서 사물의 속성을 의미하는 어휘가 뒤에 그림씨로 발달하게 된 것 같다. 1. 들어가기
1.1. 계통론 연구의 의의
1.2. 알타이어와 한국어 계통연구사 개관
2. 알타이 제어의 특징
2.2. 음운론적 특징
2.3. 형태론적 특징
2.4. 통어론적 특징
3. 알타이 제어와 한국어의 비교
3.1. 어휘 비교
3.2. 형태론적 비교
3.3. 통어론적 비교
4. 알타이어족으로 보지 않는 근거
5. 마치면서
3.2.1. 그림씨
한국어는 다른 알타이어 외는 달리 그림씨가 활용한다.
3.2.2. 임자자리토씨
알타이제어에는 고유한 임자자리토씨가 없다.한국어와외국어의비교 , 한국어 계통론인문사회레포트 ,
한국어 계통론
한국어와외국어의비교





Download : 한국어 계통론.hwp( 86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다. 몽골어에도 임자말 표시를 위해 [inu, anu] 들이 붙는 점, 중세 한국어에서 임자자리토씨가 반드시 방정 1점인 거성이라는 점에서 이 사실을 알 수 있따
3.2.3. 이름씨 파생 가지
`-m, -n, -r` 등은 알타이제어에서 움직씨에서 파생된 이름씨를 형성하는 대표적 가지이다. 한국어의 경우 `-m`은 이름씨 파생가지로써 지금도 쓰이고 있지만 `-n, -r`은 매김꼴 씨끝으로 쓰이고 있따 그러나, -n`에는 과거나 Cause 이, `-r`에는 future 나 不定과거 등의 의미가 있음을 보아 (여타의 알타이제어에도 이름씨로 파생시킨 가지가 때를 나타내…(省略)
한국어 계통의 연구에 관한 것으로 알타이어와 비교, 대조하고 학자들의 意見이 포함된 리포트입니다. 그러나 한국어에는 임자자리토씨 [i]가 있는데 이것은 초기에 임자말인 이름씨를 강조하기 위해 붙이던 것이 점차 임자자리 어미로 고정된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