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21:56본문
Download : 주희_1143778.hwp
장자에서 말하는 천하의 이치(天下之理), 순자에서 말하는 사물의 이치(物之理), 역전에서 말하는 궁리(窮理)등에서 알 수 있듯이 리학에서 말하는 리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사물의 규율과 도덕 원칙이다. 하지만 이것은 ‘리’를 절대시하는 것은 아닐것이다. 리 안에 모습이 있으니 그 근원은 하나이다.-
“若在理上看, 則雖未有物, 而已有物之理, 然亦但有其理而已, 未嘗實有是物也”
-만일 리의 입장에서 본다면, 아직 사물이 생기기 전이라도 이미 그 사물의 리는 존재한다. 기가 되는 까닭으로서 리는 도(道)이다. 그러나 그 리만 존재할 뿐이지 실제로 그 사물이 존재한 적은 없다. 그렇지만 모습 안에 리가 있으므로 차이가 없는 것이다.
“凡有形有像者, 皆器也,其所以爲是器之理者, 則道也.”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 기(器)이다. 다시 말해서 ‘리’…(省略)
,인문사회,레포트
다. 뚜렷함과 은미함에는 차이가 없다고 했는데, 모습의 입장에서 보자면 모습은 뚜렷하고, 리는 은미하다.-
“自理而觀, 則理爲體, 象爲用, 而理中有象, 是一源也. 顯微無間者, 自象而觀, 則象爲顯, 理爲微, 而象中有理, 是無間也.”
- 리의 입장에서 보자면 리는 본체이고, 모습은 작용이다.
1. 리(理)와 기(器)의 선후관계
주자의 형이상학은 주렴계의 태극도설을 골간으로 삼아 장횡거가 논한 ‘기’, 이정이 말한 형이상, 형이하 및 ‘리’와 ‘기’의 구분 등을 융합했다. 따라서 주자의 학문은 이전 도학자들의 학문을 집대성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아 리학에서 가장 큰 문제는 ‘리(理)란 무엇인가’라는 것이다. 한 종류의 사물의 ‘리’가 그 종류의 개별적인 사물보다 앞서 존재한다는 것은 물질세계가 아직 존재하지 않을 때에도 그보편규율이 이미 존재한다는 것이다. . 실제로는 ‘리’와 ‘기’ 사이에 선후가 없지만, 논리적으로는 일종의 선후 관계가 있다는 말이다.-
주희는 ‘리’는 사물보다 앞서 존재한다(理在事先) 거나, ‘리’는 사물 위에 존재한다(理在事上)는 견해를 명확히 하여 ‘리’와 사물사이의 선후문제를 논하였다.순서
설명
주희
Download : 주희_1143778.hwp( 69 )
주희 , 주희인문사회레포트 ,
주희






레포트/인문사회
1. 리(理)와 기(器)의 선후관계
2. 리와 기의 동정
3. 리일분수(理一分殊)
4. 미발(未發)과 이발(已發)
5. 심통성정 心統性情
6. 天命之性천명지성과 기질지성 氣質之性
7. 주경함양 主敬涵養
8. 격물궁리 格物窮理
9. 도심道心과 인심人心
10. 먼저 알고 나중에 행한다.